E Z C A M P U S

Loading

🧐 클라우드 배포모델
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:)

클라우드 배포모델

안녕하세요. 이지캠퍼스입니다.
오늘은 지난주 온프레미스의 개념과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비교에 이어
클라우드 배포 모델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클라우드 배포 모델을 나누는 기준?
클라우드 배포 모델은 아래 세 가지 경우를 고려해 구분되는데
1. 인프라가 있는 위치
2. 인프라를 소유하고 관리하는 사람
3.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
위의 3가지 기준에 따라 퍼블릭 클라우드, 프라이빗 클라우드,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로 구분됩니다.
☁ 퍼블릭 클라우드
퍼블릭 클라우드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가 인프라를 소유하고 있고, 인터넷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기업과 개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입니다.

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
  • 비용 :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청구되기 때문에 합리적임
  • 짧은 기간 :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단기간에 마련할 수 있음
  • 편리성 : 유지보수 작업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수행하며 인프라 관리 또한 필요 없음

퍼블릭 클라우드의 단점
  • 보안성 : 모두에게 개방된 서비스이기 때문에 온프레미스에 비해 보안이 취약할 수 있음
☁ 프라이빗 클라우드
프라이빗 클라우드는 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의 데이터 센터에 클라우드 관련 기술이 활용된 자사 전용 환경을 구축하여 컴퓨팅 리소스를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.
쉽게 말해 퍼블릭 클라우드 배포 모델과 정반대로, 단일 고객을 위한 일대일 환경입니다.

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장점
  • 유연성 : 사용자가 인프라의 유일한 소유자이기 때문에 사용자 동작을 모두 제어 가능함
  • 보안 : 동일한 인프라 내에서 리소스를 세분화해 보안을 개선할 수 있음

프라이빗 클라우드의 단점
  • 비용 : 구축하기 위한 높은 기술력과 운용 능력이 필요하며 비용이 발생함
☁ 하이브리드 클라우드
하이브리드 클라우드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연계시켜 활용하는 형태입니다.
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기능과 이점을 모두 활용할 수 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한 환경에서 호스팅하는 동시에 퍼블릭 클라우드의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
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이점
  • 보안 : 데이터가 적절하게 분리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공격당할 가능성이 줄어듦
  • 비용 :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청구되기 때문에 경제적임
  • 유연성 및 제어 : 특정 요구 사항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 설계 가능

다음 시간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종류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.


👀 이지캠퍼스에 대해 궁금하다면?
목록보기